Tuesday, September 1, 2015

우째 지식이 쩐이 되남유?

/김과장님 보세요
재미있는 것 보여줄게요.(아니 증명할게요)
아까 저녁 먹기 전에, 지식()이 곧 쩐이 될 수도 있다는 걸 증명할게요.
말이 아닌 객관적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
제가 말씀 드렸듯이 과장님 대신해서 과장님 이름으로 모의(simulation) 투자 계좌를
개설하여   여기 실시간  블로그에 올려 놓을게요.

참고로 지금 글을 올려놓은 시각은 91일 저녁 928분 입니다.
2개의 그래프를 올려 올려 놓겠습니다.
하나는 과장님 대신하여 모의 투자를 개설한 것이고
두 번째는 왜 내일부터 3일동안은 Kospi 가 떨어저야 하는
그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그 첫번째 그림입니다.




  
 윗 그림은 키움증권에서 가상금액을 받은 초기의 모습입니다.
검정 네모 칸이 3개가 있지요? (91일 그리고 5억원이 과장님 계좌에 입금 되였으나, 너무 즐거워하진 마십시오. 어디까지나, 가상의 돈이지 과장님이 이걸 꺼내어 자식들에게 물려 주거나 혹은 골프비용으로 인출 할 수 있는 그런 돈이 아닙니다. 소위  그림의 떡과 같은 것입니다.
여기에는 
2가지 조건이 있는 개임입니다.
,
-최대는 5억이고 그 이상은 받을 수 없습니다
-기간은 2개월까지 입니다. 2개월 후면 모든 기록이 제거됩니다.

 !
마지막 차트를 올림니다
아래는 30분봉 코스피 차트 입니다.

! 이 그림이 돈이 될 수도 있을까요(단지 그림이 돈이 된다면, 우린 그 그림만 연구하면 이는 곧 지식을 돈으로 환원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런 이야기 있지요 공부해서 남주나!

순차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번은 거래량 추세대라고 합니다. 번의 가격 추세대와 비교 해보세요. 가격은 오르지만, 거래량은 작아지지요. 이것을 거래량 다이버전스(Divergence)라고 합니다. 이 말은 하락추세를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추세란 거래량과 정비례관계인데, 주가가 오르는데(⑤번 추세대를 말함) 거래량이 작다는 것은 아직도 추세를 돌린 게 아니라, 하락추세가 지속 중이라고 해석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거래량이란 상승이 추세라면, 주가 상승시 거래량이 증가되여야 하고, 주가 하락시 거래량이 감소해야 합니다.(주가와 거래량 정비례법칙 이라고 함) 반대로 주가 하락시 거래량이 증가하고, 상승시 거래량이 감소하면, 하락추세의 지속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번을 보시면,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지요?

    번을 보시면 거래량이 더더욱 증가했지요. 그런데 주가는 어떻나요? 더더욱 하락하지요? 이 말은 차트의 전 그림의 추세가 하락세라는 것 입니다. 제가 아까 뭐라고 했지요? 하락이 추세라면, 주가 하락시 거래량이 증대하고 주가 반등시 거래량이 감소한다고 했지요. 그런데 여기서는 거래량이 증가하는데 주가가 감소하지 않나요아까 제가 거래량 정의를 설명할 때 뭐라고 했나요? 맞습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는데 가격이 감소 한다면, 하락세가 됩니다. ~ 이것이 하락세이군~ 이라고 결론을 내리면, 거래량 해석을 정확하게 내린 것입니다.

    번은 전체의 추세대가 하락세입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고전적이 추세대 이론으로 그림을 그리면,  ⑤번과 함께 삼각형을 그릴 수 있지요?


    번의 상승추세대가 깨진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삼각형 꼭지점에서 무너진 것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